북 당국, 중국 주재 간부 감시 강화...“단독 외출 금지”

앵커: 북한 당국이 중국 주재 자국 영사관·무역회사 간부들의 탈북 시도를 원천 차단하기 위해 동선 감시 체계를 강화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손혜민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중국에 파견된 북한 영사관과 무역회사 간부들, IT외화벌이 기술자들에 대한 북한 국가보위성의 감시 수위가 달라졌습니다.

중국 요녕성의 한 소식통(신변안전 위해 익명요청)은 11일 자유아시아방송에 “이달부터 심양 (북한)영사관 간부들의 사업활동과 출장 보고체계가 1주 단위에서 1일 단위로 달라졌다”고 전했습니다.

“국가보위성에 하루 24시간 어디서 누구와 만나 무엇을 했는지에 대한 활동과 동선 관련 보고 의무는 영사관 간부들의 가족에게도 해당된다”고 덧붙였습니다.


관련 기사

북 무역간부들, 한국 비상계엄 사태에 관심

중국 주재 북 무역간부들 생활난 심각


특히 “국가보위성에서 승인 받은 동선 지역이라도 단독 외출은 1분도 안 된다”며 “반드시 3명 이상 움직여야 하며 밥을 먹고 호텔에서 숙박할 때도 세 명이 함께 밥을 먹고 숙박해야 한다”고 이 소식통은 말했습니다.

그는 이어 “중국에 상주한 (북한) 무역대표들과 그의 가족에게도 이 같은 지시가 하달되었다”며 “중국 대학에서 공부하는 (북한)무역대표 자녀들은 수시로 국가보위성 간부에게 어디에 있다는 보고를 손전화로 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관련 중국 단동의 한 대북 소식통(신변안전 위해 익명요청)도 “지난 3월 심양에서 (북한) IT기술자들을 책임지고 일하던 30대의 평양 출신 간부(남성)가 조국에 바쳐야 할 외화를 가지고 탈북을 시도한 사건이 발생한 이후 국가보위성의 감시와 통제 체계가 달라졌다”고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그 간부는 중국 공안의 협조로 단동 외곽 농촌에서 체포되었지만, 이 사건 영향으로 심양과 단동 등에 파견되어 IT외화벌이에 내몰리고 있는 (북한) 기술자들의 사상동향이 흔들리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2017년 3월, 말레이시아 북한 대사관 정문 입구에 부착된 CCTV 감시카메라가 지나가는 사람들을 감시하고 있다.
북한 대사관 CCTV 2017년 3월, 말레이시아 북한 대사관 정문 입구에 부착된 CCTV가 지나가는 사람들을 감시하고 있다. (Vincent Thian/AP)

“단독 이동시 한국행 기도로 간주… 골목에도 CCTV 카메라”

소식통은 “이에 국가보위성은 IT기술자들이 집단 숙식하는 건물 내부와 도로와 연결된 외부 골목에도 (감시) 카메라(CCTV)를 설치해 담배나 간식을 사러가는 것도 미리 보고하고 세 명 단위로 움직이도록 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이어 “물자확보 등으로 중국 내 여러 지역을 오가며 이동해야 하는 (북한) 무역회사 대표들이 혼자 움직이다가 사복차림의 국가보위성 반탐간부에게 적발되면 한국행 기도를 시도하려는 것으로 간주되어 강제 귀국 조치와 함께 출당, 철직되기 까지 한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무역대표들이 하루 전에 어느 지역으로 가겠다고 보고하면, 국가보위성은 동행할 감시자를 붙여 중국 대방과의 거래 성사에 지장을 준다는 볼멘 소리도 나오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서울에서 RFA 자유아시아방송 손혜민입니다.

에디터 양성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