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북자 가족, 유엔서 “전시납북자 우선 해결 촉구”

앵커: 이성의 6.25전쟁납북인사가족협의회 이사장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의에 출석해 한국전쟁 납북자 문제를 안보리가 앞장서서 해결해 줄 것을 촉구했습니다. 서울에서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현지시간으로 지난 15일 전쟁 또는 무력 충돌 과정에서의 민간인 보호 문제를 다루는 회의를 개최했습니다.

이날 회의는 무력분쟁 도중 발생한 실종자 문제를 다룬 유엔 안보리의 지난 2019년 결의, 2474호의 이행을 점검하는 차원에서 열렸습니다.

안보리 결의 2474호는 전쟁과 같은 무력 충돌 당사자들이 실종된 것으로 보고된 사람들을 적극적으로 수색 및 그 유해를 반환하도록 촉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성의 6.25전쟁납북인사가족협의회 이사장은 이날 회의에 참석해 한국전쟁 납북자 문제를 환기시키며 안보리가 적극적으로 한국전쟁 납북자 문제를 해결해 줄 것을 촉구했습니다.

이성의 이사장은 자신이 18개월되던 때 아버지, 이종령 씨가 북한에 의해 납치됐다면서 여전히 그 행방을 알지 못하고 있다고 하소연했습니다.

그러면서 “아버지에 대한 기억이 없어 평생 아버지가 있다면 어떨까 궁금해 했다”며 “어머니는 다른 납북자 가족들처럼 가족을 지키기 위해 혹독한 세월을 겪었고 가슴에 멍이 가시지 않았다”고 토로했습니다.

이 이사장은 발언 도중 1940년 대 검사로 재직했던 아버지 이종령 씨의 사진을 꺼내 들며 납북자 문제 해결을 위해 국제사회가 적극 나서 줄 것을 요청하기도 했습니다.

이 이사장은 납북자 문제의 시작이 한국전쟁에서 비롯됐다며 당시 납북자 문제가 해결됐다면 북한에 의한 다양한 납치 문제를 예방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한국전쟁 납북자 문제를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제4회 6.25 납북희생자 기억의 날' 기념식에서 참가 가족이 납북희생자들의 인물사진 현수막을 촬영하고 있다.
'제4회 6.25 납북희생자 기억의 날' 기념식에서 참가 가족이 납북희생자들의 인물사진 현수막을 촬영하고 있다. '제4회 6.25 납북희생자 기억의 날' 기념식에서 참가 가족이 납북희생자들의 인물사진 현수막을 촬영하고 있다. (연합)

이성의 이사장 “안보리, 생사확인 및 유해 송환 위해 북에 조치해야”

이를 위해 이 이사장은 북한이 납북자들의 생사를 확인하고 사망자의 유해를 송환할 수 있도록 유엔 안보리 차원의 조치를 요청했습니다.

이어 납북자 문제에 대한 책임을 묻기 위해 국제형사재판소(ICC) 제소와 같은 실질적인 조치, 전시 납북 피해자들의 명예 회복 등을 유엔 안보리에 촉구했습니다.

[이성의 6.25전쟁납북인사가족협의회 이사장] 시간이 부족합니다. 납북자의 형제자매와 배우자 상당수가 이미 세상을 떠났고 저와 같은 자녀들도 늙고 있습니다. 우리는 전후 납북자, 억류자, 미송환 국군포로 등 다른 많은 희생자들과 이 슬픔을 함께 하고 있습니다. 안보리 결의 2474호를 바탕으로 북한이 우리 가족들의 생사 확인과 송환 등을 해줄 것을 강력히 촉구합니다.

황준국 유엔 주재 한국 대사도 이 자리에서 북한의 납치 행각에 대해 계획적인 반인도 범죄라고 지적하며 북한이 납치 범죄를 벌였음에도 이를 부인하고 여러나라 국민들을 납치 및 구금하고 있음을 지적했습니다.

황 대사는 납북자 가족들이 대부분 고령이라는 점을 언급하며 납북자 문제를 국제사회가 함께 신속하게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황준국 유엔 주재 한국 대사] 정부는 북한이 공식 사과, 희생자의 생사 확인, 안전하고 즉각적인 귀환 보장 등 납북자, 억류자, 미송환 전쟁 포로와 관련된 모든 문제를 해결할 것을 다시 한번 강력하게 촉구합니다.


관련기사

통일부장관 “납북·억류자 문제 해결, 기억과 공감서 시작”

한국, 유엔 ‘북 선교사 불법구금’ 인정에 “즉시 석방해야”


도로시 셰이 주유엔 미국대사 대행은 이 자리에서 유엔 안보리 회원국들이 납치 피해자 및 그 유해의 송환을 위해 북한에 영향력을 행사해 줄 것을 촉구했습니다.

셰이 대행은 “북한은 세계에서 가장 억압적인 권위주의 국가 중 하나로 인권 상황이 참담하다”며 “미국은 납치자, 억류자, 송환되지 못한 전쟁포로 문제의 즉각적인 해결을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셰이 대행은 “모든 회원국이 결의안 2474호를 전면 이행하고 하마스와 북한 등 이를 무시하는 모든 분쟁 당사자들에게 면책 특권이 부여되지 않도록 촉구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서울에서 RFA 자유아시아방송 목용재입니다.

에디터 양성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