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국무부 고위관리가 북한이 테러를 지원하지 않겠다는 말을 하는 걸 들어본 적이 없다고 밝혀 미국의 북한 테러지원국 지정이 계속될 전망입니다. 이상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그레고리 로제르포 (Gregory LoGerfo) 국무부 대테러 부조정관은 25일 미 연구기관인 미기업연구소(AEI)가 주최한 미국의 대테러활동에 대한 간담회에 참석했습니다.
로제르포 부조정관은 이날 이란, 쿠바, 시리아와 함께 미국의 테러지원국 명단에 등재돼있는 북한이 이 명단에서 빠질 가능성이 있느냐는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질문을 받았습니다.
그는 이에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빠지려면 테러 활동을 지원하지 않겠다는 의도와 조치들이 확인되어야 한다고 답했습니다. 이어 테러 활동를 지원하지 않겠다고 맹세하고 이를 법으로 명시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그는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공은 북한에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로제로프 부조정관: 북한이 테러를 지원하지 않겠다는 의도가 있다는 말을 들으면 우리는 아마도 거기에 집중할 것입니다. 하지만 최근까지 그들로부터 그런 말을 들어본 적이 없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의 북한 테러지원국 지정은 계속될 전망입니다.
북한은 1987년 대한항공 여객기 폭파사건에 관여해 1988년 테러지원국으로 지정됐습니다. 이후 2008년 북한이 영변 핵 시설 냉각탑을 폭파하고 핵 검증에 합의하면서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삭제됐습니다.
그러나 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선 후 2017년 11월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다시 지정했습니다. ‘해외 영토에서 일어난 암살사건을 포함해 반복적으로 국제 테러 행위를 지원해 왔다’는 것이 배경 설명이었습니다. 지난 3월에 발표된 국무부의 ‘2021 국가별 테러보고서’에서도 북한은 테러지원국으로 지정됐습니다. 2017년 후 6년 연속입니다.
테러지원국으로 지정된 국가를 명단에서 삭제하려면 미 대통령이 의회에 해제 요청 보고서를 내야 합니다.
대통령은 보고서에서 해당 정부의 정책이 근본적으로 변해 국제 테러 행위를 지원하지 않고 있으며, 앞으로도 테러 행위를 지원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는 보장을 담아야 합니다.
아니면 해당국이 지난 6개월 동안 국제 테러 활동에 어떤 지원도 하지 않았고, 앞으로도 지원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는 보장을 담은 보고서를 내면 의회는 이를 검토하는 절차를 실시합니다.
에디터 박정우, 웹팀 이경하